
뉴스폴 김종익 기자 |이재명 대통령은 15일 광복절 80주년을 맞아 “북측의 체제를 존중하며 어떠한 형태의 흡수 통일도 추구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또 “일체의 적대행위를 할 뜻도 없음을 분명히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광복절 경축식 경축사에서 “이제는 낡은 냉전적 사고와 대결에서 벗어나 평화로운 한반도의 새 시대를 열어가야 할 때”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숱한 부침에도 이어지던 남북 대화가 지난 정부 내내 끊기고 말았다”며 “엉킨 실타래일수록 인내심을 갖고 차근차근 풀어야 한다. 먼 미래를 논하기 전에, 지금 당장의 신뢰 회복과 대화 복원부터 시작하는 것이 순서”라고 지적했다.
이 대통령은 “신뢰는 말이 아닌 행동으로 만들어진다”며, 정부가 취임 직후부터 전단 살포와 대북 확성기 방송 중단 등 긴장 완화 조치를 취해왔다고 밝혔다. 이어 “앞으로도 우리 정부는 일관된 자세로 긴장 완화와 신뢰 회복을 위한 조치를 이어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그는 “남과 북은 원수가 아니다”라며 “서로의 체제를 인정하고 평화적 통일을 지향하는 특수한 관계”임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남북기본합의서의 정신은 6·15 공동선언, 10·4 선언, 판문점 선언, 9·19 공동선언까지 관통하고 있으며, 우리 정부는 기존 합의를 존중하고 이행 가능한 부분은 즉시 실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그는 남북 간 군사적 신뢰 회복을 위한 방안으로 “9·19 군사합의를 선제적·단계적으로 복원해 나가겠다”고 밝히며, “광복 80주년인 올해가 평화공존과 공동성장의 새 시대를 열어갈 적기”라고 강조했다.
비핵화 문제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이 대통령은 “평화로운 한반도는 핵 없는 한반도”라며 “비핵화는 복합적이고 어려운 과제임을 인정한다. 남북, 미북 대화와 국제사회 협력을 통해 평화적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국제적 공감대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한일관계에 대해서도 언급하며 “양국은 오랜 세월 굴곡진 역사를 공유해왔기에 관계 정립은 중요한 과제”라고 강조했다. 그는 “과거를 직시하되 미래로 나아가는 지혜가 필요하며, 일본은 마당을 함께 쓰는 이웃이자 경제 발전의 중요한 동반자”라고 언급했다.
그는 “국익 중심의 실용외교 원칙 아래 셔틀외교를 통해 일본과 자주 만나고 솔직한 대화를 나누며 미래지향적인 상생협력의 길을 모색할 것”이라고 밝혔다. 동시에 “일본 정부가 과거의 아픈 역사를 직시하고 양국 간 신뢰가 훼손되지 않도록 노력해주길 기대한다”고 촉구했다.
끝으로 이 대통령은 독립운동의 역사와 보훈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자랑스러운 항일투쟁의 역사를 기리고, 독립유공자의 명예를 지켜야 한다”며 “독립운동의 역사를 부정하거나 독립운동가를 모욕하는 행위는 더 이상 용납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