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폴 김종익 기자 | 리야드, 사우디아라비아, 2025년 7월 18일 -- 마제드 빈 압둘라 알-호가일(Majed bin Abdullah Al-Hogail) 사우디 지방자치주택부(Municipalities and Housing) 장관이자 부동산총국(Real Estate General Authority, REGA) 국장은 2025년 7월 8일(화) 비(非)사우디인의 부동산 소유에 관한 규정 개정안이 내각 회의에서 승인된 데 대해,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Salman bin Abdulaziz Al Saud) 국왕과 왕세자에게 깊은 감사를 표했다. 알-호가일 장관은 이번 내각 승인이 부동산 산업 발전 및 외국인 직접 투자 유치 촉진을 위한 부동산 입법 개혁의 연속선상에 있다고 설명했다. 이는 투자자와 부동산 개발 회사를 사우디 시장으로 유치하여 부동산 공급을 늘리는 데 기여할 것이며, 이를 통해 보다 균형 잡힌 부동산 생태계를 달성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그는 또한 해당 규정이 모든 경제 및 투자 측면을 신중하게 고려했으며, 메카와 메디나 지역에서도 특정 조건 하에 부동산 소유를 허용한다고 덧붙였다. 알-호가
뉴스폴 김종익 기자 | 하노이, 베트남 2025년 7월 4일 -- 소일빌드 인터내셔널(Soilbuild International)이 베트남 북부 흥옌성에 14.45헥타르 규모로 건설될 최첨단 스텍트럼 흥옌 산업단지의 기공식을 가졌다. 대사, 정부 관계자 및 산업 리더들이 참석한 이번 행사에서 개발사인 소일빌드는 역내 고성장 중인 제조 및 물류 산업에 대한 투자 강화를 시사했다. 싱가포르 부동산 시장에서 50년 가까이 경험을 축적해온 소일빌드 그룹은 현재 자회사인 소일빌드 인터내셔널을 앞세워 자사의 글로벌 산업 전문성을 확장하고 있다. 스펙트럼 흥옌 산단의 출범은 이러한 비전을 베트남에서 실현하는 중요한 이정표다. 지속가능성 , 기능성 , 적응성을 중점으로 설계된 스펙트럼 흥옌은 차세대 산업단지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된다. 주요 고속도로를 낀 전략적 입지는 효율적인 공급망과 지역 분배를 가능하게 해 현지 및 국제 제조업체의 변화하는 요구사항을 만족시킨다. 패스트트랙으로 진행되는 1단계 사업스펙트럼 흥옌의 1단계 사업에서는 7만4225제곱미터의 부지에 총 연면적 5만2000제곱미터에 달하는 공장들
말레, 몰디브, 2025년 7월 2일 -- 몰디브 정부가 세계 최대 국제투자이민 자문사인 헨리앤파트너스(Henley & Partners)와 몰디브 최초의 투자거주권 프로그램을 개발•시행하기 위한 역사적인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이번 협력은 몰디브를 탄력적이고 다각화된 선진 경제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모하메드 무이주(Dr. Mohamed Muizzu) 대통령의 '비전 2040'의 일환으로 이루어졌다. 경제개발무역부(Economic Development and Trade) 의 모하메드 사이드(Mohamed Saeed) 장관은 싱가포르 센토사섬에서 열린 '2025 몰디브-싱가포르 비즈니스 포럼(Maldives–Singapore Business Forum)' 행사에서 열린 협약 체결식에서 "몰디브는 오랫동안 세계적인 여행지로 명성을 떨쳐 왔다"면서 "이 프로그램을 통해 몰디브의 국민, 잠재력, 미래의 가치를 알아보는 글로벌 투자자들과 이러한 유산을 공유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어 "헨리앤파트너스와의 이번 파트너십은 신뢰할 수 있는 글로벌 파트너와 협력하는 것이 모하메드 무이주 대통령의 리더
뉴스폴 김종익 기자 |이재명 대통령은 15일 광복절 80주년을 맞아 “북측의 체제를 존중하며 어떠한 형태의 흡수 통일도 추구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또 “일체의 적대행위를 할 뜻도 없음을 분명히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광복절 경축식 경축사에서 “이제는 낡은 냉전적 사고와 대결에서 벗어나 평화로운 한반도의 새 시대를 열어가야 할 때”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숱한 부침에도 이어지던 남북 대화가 지난 정부 내내 끊기고 말았다”며 “엉킨 실타래일수록 인내심을 갖고 차근차근 풀어야 한다. 먼 미래를 논하기 전에, 지금 당장의 신뢰 회복과 대화 복원부터 시작하는 것이 순서”라고 지적했다. 이 대통령은 “신뢰는 말이 아닌 행동으로 만들어진다”며, 정부가 취임 직후부터 전단 살포와 대북 확성기 방송 중단 등 긴장 완화 조치를 취해왔다고 밝혔다. 이어 “앞으로도 우리 정부는 일관된 자세로 긴장 완화와 신뢰 회복을 위한 조치를 이어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그는 “남과 북은 원수가 아니다”라며 “서로의 체제를 인정하고 평화적 통일을 지향하는 특수한 관계”임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남북기본합의서의 정신은 6·15 공동선언, 10·
뉴스폴 이솔지 기자 | 정밀 의료 접근성 향상 위해 규제 및 시스템적 개선 필요 서울, 대한민국, 2025년 8월 13일 -- 글로벌 전략 컨설팅 기업 'L.E.K. 컨설팅'이 오늘 발표한 백서 '정밀 의료 사례 연구 보고서(On the Cusp of a Cure)'에 따르면, 정밀 의료 시대가 본격화되면 향후 10년간 한국에서 약 60조 원의 경제 효과와 보건의료 전반에 걸친 사회•경제적 가치가 실현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밀 의료는 기존의 획일적인 치료 방식과 달리 환자 개개인의 유전적 정보와 질병 특성에 기반해 맞춤형 치료를 제공하는 새로운 접근 방식으로, 질환에 대해 근본적인 치료 가능성을 제시한다. 유전자 치료제, 표적 항체 치료제, 약물-기기 복합 치료제, 정밀 진단 기술이 정밀 의료의 대표적인 핵심 기술이다. 이번 보고서는 글로벌 컨설팅 회사 L.E.K. 컨설팅과 아시아태평양 지역 16인의 전문가 자문위원회가 함께 개발한 것으로, '전체 시스템 이익 모델링(whole system benefits modelling)'을 활용해 한국에서 정밀 의료가 가져올 경제 및 보건의료적 효과를 분석했다. 보고
뉴스폴 이솔지 기자 | 서울, 대한민국, 2025년 8월 13일 -- 오늘 8월 13일(수), HPTW 코리아가 공식 출범하며 한국 시장에서의 첫 발걸음을 내디뎠다. 이번 출범을 계기로, 글로벌 진단 모델 'Health Score'가 국내에 본격 도입된다. Health Score는 직원과 조직의 건강을 정밀하게 측정하고, 이를 성과와 연결해 위기 상황에서도 지속가능한 고성과 문화를 만들어가는 데 힘을 보태는 혁신적인 평가•인증 프로그램이다. 특히 이번 출범과 함께 'Make Work Healthy 특별강연 및 Health Score 온라인 진단 인증설명회'가 열린다. Health Score를 만든 창시자이자 『Make Work Healthy』의 저자인 존 라이언(John Ryan)이 직접 발표하며, 참가자는 무료로 신청 가능하고, 『Make Work Healthy』 도서도 증정된다. HPTW는 아일랜드 Dublin University에 본사를 두고, 영국•스칸디나비아•멕시코•브라질•필리핀•아랍에미리트•루마니아 등 전 세계 20여 개국에서 운영되고 있다. 글로벌 파트너인 Roffey Park Institute와 협력해 다수의 조직에
아마다바드, 인도, 2025년 8월 12일 -- 다국적 제약사 인타스 파마슈티컬스(Intas Pharmaceuticals)의 자회사 어코드 플라스마(Accord Plasma B.V.)가 네덜란드와 벨기에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플라스마 유래 의약품(plasma-derived medicinal products•PDMP) 분야 선도기업인 프로티아 바이오솔루션스 벨기에(Prothya Biosolutions Belgium BV) 및 이 회사의 모든 자회사 지분 100%를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규제 당국의 승인을 포함한 통상적인 거래 종결 조건이 충족되는 대로 인수는 마무리될 예정이다. 이번 인수로 인타스와 어코드는 PDMP 시장에서 글로벌 입지를 구축하려는 오랜 목표에 중요한 진전을 이뤘다. 인타스는 인도 내에서 확립한 리더십을 바탕으로 진정한 국제적 영향력을 발휘할 것으로 기대된다. 프로티아 바이오솔루션스는 암스테르담과 브뤼셀에 주요 사무소를 두고 있으며 헝가리 전역에 플라스마 수집 센터를 운영 중이다. 직원 수는 약 1200명인 유럽 최대 플라스마 분획업체 중 하나다. 2021년 본래 벨기에 적십자(Belgian Red
뉴스폴 김종익 기자 | 제21대 대선에서 승리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통령 당선인이 6월 4일 임기를 시작하면서 대통령실 핵심 참모진 인선도 속속 윤곽을 드러내고 있다. 특히 비서실장, 국가안보실장, 정책실장 등 이른바 ‘3실장’ 인선에 정치권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초대 국무총리로는 김민석 상임선거대책위원장이 사실상 내정됐다. 김민석 의원은 민주당 내 대표적인 전략가로, ‘86세대 운동권’ 출신이자 서울대 총학생회장, 전학련 의장을 역임했다. 이재명 후보 캠프에서 전략기획본부장을 맡았고, 이번 대선에서는 상임공동선대위원장으로 활동하며 신뢰를 쌓았다. 대통령 비서실장으로는 강훈식 의원이 최종 낙점된 것으로 알려졌다. 강 의원은 충남 아산에서 내리 3선에 성공한 중진 의원으로, 2022년 대선에서도 이 후보 캠프의 전략기획본부장을 맡았다. 이번 대선에서는 선대위 종합상황실장을 맡아 전반적인 전략을 이끌었다. 계파색이 짙지 않고 중도 성향으로, 통합형 인사로 평가받는다. 정책실장에는 이한주 민주연구원장이 유력하다. 이 원장은 이재명 당선인의 대표적 ‘경제 멘토’로, 기본소득 정책의 설계자이자 경기도지사 시절 함께 호흡을 맞춘 인물이다. 경기연구원장과 민주연구원장을 역임하며 정책 브레인으로서의 입지를 다져왔다. 외교·안보 라인도 점차 정비되고 있다. 국가안보실장 후보로는 이종석 전 통일부 장관, 김현종 전 청와대 국가안보실 2차장, 위성락 민주당 의원 등이 거론된다. 김현종 전 차장은 문재인·노무현 정부에서 통상 전문가로 활약했으며, 위성락 의원은 현재 민주당 선대위 국익중심실용외교위원회 소속으로 외교정책 구상을 주도하고 있다. 정무수석에는 김병욱 전 의원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김 전 의원은 과거 손학규계로 활동하다 민주당에 잔류해 성남시장 시절의 이 후보와 인연을 맺은 친명계 인사다. 이처럼 전략 및 정책 기반의 핵심 측근들을 대통령실에 배치한 것은 인수위원회 없이 즉각 출범하는 정부 운영의 안정성과 속도를 높이기 위한 포석으로 보인다. 내각 인선은 국회 인사청문회 등 절차로 시간이 필요한 만큼, 대통령실 참모진 구성을 우선 완료해 국정 공백을 최소화하겠다는 구상이다. 이 당선인은 앞서 “대통령이 모든 국정을 직접 챙길 수는 없다”며 “충직하고 유능한 인재를 대통령실과 내각에 기용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러한 원칙에 따라 최측근 인사들보다는 실무형·전문가형 인사 중심의 조각(組閣)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참모진 인선은 이르면 이날 중 공식 발표될 예정이다.
뉴스폴 김종익 기자 | 한화생명금융서비스 한아름본부(본부장 최영호)는 2025년 5월 18일 의정부시테니스협회 (협회장 정성민)와 상호 협력 및 지역 체육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테니스 인구가 5,000여 명에 이르고, 전국에서 가장 많은 실내 테니스 코트를 보유한 ‘테니스의 메카’ 의정부시의 생활체육 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한 목적으로 추진됐다. 특히, 의정부시는 실업 테니스팀을 운영하며 지역 체육 인프라 확대에 힘쓰고 있다. 한화생명금융서비스 한아름본부는 의정부에 위치한 보험대리점으로, 평소에도 지자체 및 지역 주민들의 각종 자치 행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왔다. 이번 협약을 통해 한아름본부는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더욱 강화하고, 생활체육 발전을 위한 다양한 지원 활동을 펼칠 계획이다. 최영호 본부장은 “의정부시테니스협회와의 협약을 통해 지역사회와 더 가까워지고, 생활체육 진흥에 실질적인 기여를 하게 되어 기쁘다”며 “앞으로도 지역 주민들과 함께 성장하는 금융서비스 매개체가 되겠다”고 밝혔다.
뉴스폴 김종익 기자 | 새마을금고가 MG손해보험과의 직접적인 연관성을 부인하며, 현재 사용 중인 ‘MG’ 브랜드 상표권 계약을 해지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15일 새마을금고는 공식 입장을 통해 “MG손해보험의 영업정지나 정리 가능성과는 무관하게, 새마을금고 공제 가입자들에게는 아무런 영향이 없다”고 강조했다. 새마을금고 관계자는 “MG손해보험은 새마을금고와 별개의 회사이며, 단지 상표권 계약을 통해 ‘MG’ 브랜드를 일시적으로 사용하고 있을 뿐”이라며, “금융당국이 추진 중인 가교보험사 설립이 완료되면 상표권 계약을 즉시 해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관련 절차가 올해 안에 마무리되지 않더라도, 현 상표권 계약은 올해 말까지로 예정돼 있다”며, 계약 만료 이후 MG손보의 브랜드 사용이 종료될 것임을 시사했다. 최근 MG손해보험의 재무 건전성 문제로 인해 일부 영업 정지나 정리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새마을금고는 브랜드 혼동에 따른 불안감을 불식시키기 위해 이 같은 입장을 신속히 발표한 것으로 풀이된다.
뉴스폴 김종익 기자 | 26년간 공무원 한국사 강의로 이름을 알린 전한길 강사가 공식 은퇴를 선언했다. 전 씨는 앞으로 언론 활동에 집중하며 ‘전한길뉴스’를 통해 국민과 소통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14일 메가공무원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전한길 강사의 은퇴 소식을 전하며, “전한길 선생님의 강의로 공부해주신 수강생 여러분과 메가공무원 회원분들께 감사드린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전 강사의 계약 종료 사실도 알렸다. 이에 따라 향후 전한길 강사의 신규 강의는 더 이상 개설되지 않으며, 기존 강의는 2026년 10월 31일까지 수강 신청 및 이용이 가능하다. 메가공무원은 기존 수강생들의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타 강사의 한국사 강의를 추가 제공할 방침이다. 전한길 강사는 자신이 운영하는 온라인 플랫폼 ‘전한길뉴스’를 통해 “강단에서는 물러나지만, 이는 끝이 아닌 새로운 시작”이라며, “앞으로는 언론인으로서 국민의 목소리를 대변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그는 지난달 8일 유튜브 채널을 통해 은퇴를 암시한 바 있다. 당시 전 강사는 “비상계엄과 탄핵 정국 이후 삶이 완전히 달라졌다”며, 방송 하차와 인간관계의 단절, 가족 문제 등을 솔직히 털어놓았다. 이어 “26년간 강의했지만, 이제는 내려놓을 때”라고 전했다. 전한길 강사는 그동안 보수 성향의 발언과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공개 지지로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이에 따라 일부 수강생 및 대중과의 갈등이 빚어지기도 했다. 한편, 전 씨의 강의는 많은 공시생들 사이에서 높은 인기를 얻었으며, 그의 은퇴 소식에 수험가에서는 아쉬움의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홍콩 2025년 8월 2일 -- 홍콩의 대표 쇼핑몰이자 관광명소인 하버시티(Harbor City)가 올여름 산리오 홍콩(Sanrio Hong Kong)과 손잡고 '마이멜로디・키키앤라라 50주년 기념행사 — 서머마츠리@하버시티(My Melody・Kiki & Lala 50th Anniversary Celebration — Summer Matsuri @ Harbour City)'를 개최한다. 7월 29일부터 9월 7일까지 하버시티는 환상적인 일본의 서머마츠리(여름 축제)로 변신해 시각적 화려함, 인터랙티브 체험, 독점 상품이 어우러진 다채로운 경험을 선사한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빅토리아 항구 옆에 위치한 하버시티는 오션 터미널 광장에서 세 가지 캐릭터를 기념하는 행사인 '서머 하나비 축제(Summer Hanabi Festival)'를 열고 7미터 높이의 일본식 축제 무대, 추억의 게임 부스, 마이멜로디, 키키앤라라의 실루엣이 항구 하늘을 밝히는 화려한 LED 불꽃놀이를 통해 방문객들을 축제의 현장으로 초대한다. 마이멜로디는 키키앤라라와 함께 우아한 유카타를 입은 태고의 달인으로 등장해 일본 전통 축제의 매력을 선사한다. 야외 행사 외에도 팬들은 오션 터미널
뉴스폴 김종익 기자 | 리야드, 사우디아라비아, 2025년 7월 18일 -- 마제드 빈 압둘라 알-호가일(Majed bin Abdullah Al-Hogail) 사우디 지방자치주택부(Municipalities and Housing) 장관이자 부동산총국(Real Estate General Authority, REGA) 국장은 2025년 7월 8일(화) 비(非)사우디인의 부동산 소유에 관한 규정 개정안이 내각 회의에서 승인된 데 대해,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Salman bin Abdulaziz Al Saud) 국왕과 왕세자에게 깊은 감사를 표했다. 알-호가일 장관은 이번 내각 승인이 부동산 산업 발전 및 외국인 직접 투자 유치 촉진을 위한 부동산 입법 개혁의 연속선상에 있다고 설명했다. 이는 투자자와 부동산 개발 회사를 사우디 시장으로 유치하여 부동산 공급을 늘리는 데 기여할 것이며, 이를 통해 보다 균형 잡힌 부동산 생태계를 달성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그는 또한 해당 규정이 모든 경제 및 투자 측면을 신중하게 고려했으며, 메카와 메디나 지역에서도 특정 조건 하에 부동산 소유를 허용한다고 덧붙였다. 알-호가
뉴스폴 김종익 기자 | 하노이, 베트남 2025년 7월 4일 -- 소일빌드 인터내셔널(Soilbuild International)이 베트남 북부 흥옌성에 14.45헥타르 규모로 건설될 최첨단 스텍트럼 흥옌 산업단지의 기공식을 가졌다. 대사, 정부 관계자 및 산업 리더들이 참석한 이번 행사에서 개발사인 소일빌드는 역내 고성장 중인 제조 및 물류 산업에 대한 투자 강화를 시사했다. 싱가포르 부동산 시장에서 50년 가까이 경험을 축적해온 소일빌드 그룹은 현재 자회사인 소일빌드 인터내셔널을 앞세워 자사의 글로벌 산업 전문성을 확장하고 있다. 스펙트럼 흥옌 산단의 출범은 이러한 비전을 베트남에서 실현하는 중요한 이정표다. 지속가능성 , 기능성 , 적응성을 중점으로 설계된 스펙트럼 흥옌은 차세대 산업단지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된다. 주요 고속도로를 낀 전략적 입지는 효율적인 공급망과 지역 분배를 가능하게 해 현지 및 국제 제조업체의 변화하는 요구사항을 만족시킨다. 패스트트랙으로 진행되는 1단계 사업스펙트럼 흥옌의 1단계 사업에서는 7만4225제곱미터의 부지에 총 연면적 5만2000제곱미터에 달하는 공장들
뉴스폴 김종익 기자 | 온타리오 오타와 및 베트남 호찌민시, 2025년 8월 14일 -- 캐나다 수출 신용 기관인 캐나다 수출개발공사(EDC)와 베트남의 대표적인 투자 관리사 중 하나인 비나캐피탈(VinaCapital)이 캐나다와 베트남 양국 간 무역•투자 확대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인프라, 에너지, 소매, 의료 및 금융 서비스 등 캐나다의 전문성이 부합하는 베트남의 우선 개발 과제 분야에서 캐나다 수출업체와 투자자에게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번 MOU에 따라 EDC와 비나캐피탈은 캐나다 기업들의 베트남 시장 진출 및 사업 확장을 지원하기 위해 협력할 계획이다. 포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발효 이후 캐나다와 베트남의 양국 간 무역은 2018년 65억달러에서 2024년 157억달러로 증가했다. 2003년에 설립된 비나캐피탈은 베트남 유일의 다각화 투자 관리사로, 40억달러 규모의 자산을 관리하고 전국에 걸쳐 300여 명의 직원을 보유하고 있다. 비나캐피탈의 투자팀은 상장 주식 및 채권, 사모 펀드, 청정 에너지 및 인프라, 탄소 크레딧, 부동산 및 벤처 캐피털 등 다양
뉴스폴 김종익 기자 | 타이베이 2025년 8월 14일 -- PT 라캿 인도네시아 은행(PT Bank Rakyat Indonesia (Persero) Tbk, 이하 BRI, IDX: BBRI)이 대만 및 동아시아 진출을 목적으로 대만 타이베이에 지점(타이베이시 중산구 난징동로3 166)을 개설했다. 2025년 8월 8일 금요일에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린 그랜드 오픈 행사에서 헤리 구나르디(hery Gunardi) BRI 사장은 "대만 내 유일한 인도네시아 은행 지점인 BRI 타이베이 지점은 36만명에 달하는 대만 내 인도네시아 이주노동자들에게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BRI 타이베이 지점은 저축, 대출, 송금 등 통합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며, 대만의 은행 인프라와 호환되는 'Advance FX 라이선스'와 BRI ATM 카드 상품을 출시한다. 구나르디 사장은 "향후 BRI 타이베이 지점은 대만(중국)에서 인도네시아로 향하는 투자 관문 역할을 하며 투자자들이 직•간접적 투자 채널을 통해 자금을 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라며 "경쟁력 있
250명 이상의 심사위원이 78개국 3800여 응모작 중에서 수상작 선정 페어팩스, 버지니아, 2025년 8월 13일 -- 제22회 인터내셔널 비즈니스 어워드(Annual International Business Awards®)에서 우수한 성과를 낸 전 세계 조직과 경영진이 골드, 실버 및 브론즈 스티비 어워드(Stevie® Award) 수상작을 배출했다. 인터내셔널 비즈니스 어워드는 모든 비즈니스 분야를 아우르는 세계 유일의 국제 비즈니스 어워드 프로그램이다. 수상작은 78개국의 조직에서 제출한 3800개 이상의 응모작 중에서 선정됐다. 2025년도 골드•실버•브론즈 스티비 어워드 수상작 목록은 www.StevieAwards.com/IBA에서 확인할 수 있다. 수상작을 가리기 위해 전 세계 250명 이상의 전문가들이 9개 전문 심사위원단에 심사위원으로 참여해 응모작을 심사했다. 골드, 실버 및 브론즈 스티비 어워드를 통틀어 최다 수상작을 배출한 조직은 터키의 할크뱅크(HALKBANK)와 플라디스(pladis)로 각각 21개 상을 수상했다. 3개 이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