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를린, 2025년 10월 7일 -- 우리 주변 환경에서 흔히 발견되는 5mm 미만의 플라스틱 입자인 미세플라스틱이 인간의 장내 미생물(gut microbiome)을 변화시킬 수 있고, 일부 변화는 우울증 및 대장암에서 나타나는 변화 패턴과 유사한 것으로 UEG 위크 2025(UEG Week 2025)에서 6일 발표된 새로운 연구결과를 통해 확인됐다.
씨비메드(CBmed) 연구 센터가 국제 파트너들과 협력해 주도한 선구적인 코밋(COMET) 모듈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진행된 마이크로원(microONE) 프로젝트에서 수행된 본 연구는 다양한 유형의 미세플라스틱이 인간 장내 미생물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직접 조사한 최초의 연구에 속한다. 인체 내에서 미세 및 나노 플라스틱 입자의 영향을 탐구하겠다는 마이크로원의 광범위한 사명의 일환으로 추진된 이번 연구는 미세플라스틱이 건강에 미칠 수 있는 잠재적 영향에 대한 중요한 새로운 통찰을 제공해주는 동시에 추가 연구의 필요성이 시급함을 확인시켜준다.
연구진은 건강한 자원자 5명의 대변 샘플을 이용해 체외(ex vivo) 장내 미생물 배양을 수행했다. 이어 배양체를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 5가지 일반적 미세플라스틱에 노출시켰다. 노출 농도는 인간이 실제로 접할 것으로 추정되는 수준을 반영했으며, 잠재적인 용량 의존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더 높은 농도에서도 실험을 진행했다.
실험 결과 총 세균 수와 생존 세균 수에는 대체로 변화가 없었으나, 미세플라스틱에 노출된 배양체에서는 대조군과 비교해 산도(낮은 pH 수준)가 일관되고 유의미하게 증가하여 미생물의 대사 활동이 바뀌었음을 시사했다.
추가 분석에선 미세플라스틱 종류에 따라 특정 세균군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등 미세플라스틱별로 세균 구성에 변화가 확인됐다. 이러한 변화는 여러 세균 계통에서 관찰되었으며, 대부분은 소화와 전반적인 장 건강에 중요한 장내 세균군인 바실로타(Bacillota) 문 내에서 발생했다.
세균 구성의 이러한 변화는 세균이 생산하는 화학 물질의 변화와 함께 나타났고, 일부 변화는 관찰된 pH 감소와 관련이 있었다. 또한 일부 변화는 이전 연구에서 확인된, 우울증이나 대장암과 같은 질병에서 나타나는 패턴과 유사했다. 이는 마이크로플라스틱 노출이 질병 위험을 높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보고서 책임 저자인 크리스티안 파허-도이치(Christian Pacher-Deutsch)는 연구의 광범위한 의미를 되짚어보며 "이번 연구 결과는 미세플라스틱이 물고기, 소금, 생수, 심지어 수돗물에서도 발견될 만큼 일상생활에서 미세플라스틱 노출이 얼마나 광범위한지를 고려할 때 매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건강에 대한 확정적인 결론을 내리기에는 아직 이르지만, 장내 미생물이 소화부터 정신 건강에 이르기까지 웰빙의 여러 측면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가능한 한 미세플라스틱 노출을 줄이는 것은 현명하고 중요한 예방 조치"라고 당부했다.